[면역항암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죽이게 하는 면역관문억제제

부작용은 적지만 연구가 더 필요한 면역관문억제제

일반 항암제나 표적치료제는 자체의 독성효과로 암세포를 공격하지만,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관문을 방해만 하고 스스로 독성작용하지는 않습니다.

면역항암제 아닌 면역관문억제제로 불러야

면역관문억제제는 공동억제자와 결합하여 T-세포를 억제하는 보조결합을 차단합니다. 이로써 T-세포가 암세포를 죽일 수 있도록 작용합니다. 면역관문억제제라는 용어가 너무 어려워서 단순히 면역항암제라고 흔히 말합니다.

그렇다 보니 면역을 증강하는 여러 가지 면역증강치료제나 혈액 속 면역세포를 추출해서 증식시킨 후 다시 수혈하는 면역세포치료 등과 이름이 혼동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면역치료제, 면역세포치료제, 굉장히 헷갈리죠? 정확하게 면역관문억제제라고 하면 헷갈리지 않겠죠?

면역관문억제제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면역관문에서 작용하는 단백질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PD-1이나 PD-L1이 대표적입니다. PD-1은 면역관문에서 T-림프구 쪽에 붙어 있는 단백질이고, PD-L1은 암세포 쪽에 붙어 있는 단백질입니다.

PD-1과 PD-L1이 결합하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습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PD-1이나 PD-L1과 대신 결합하여 PD-1과 PD-L1이 연결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걸 차단하므로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 항암제나 표적치료제는 자체의 독성효과로 암세포를 공격하지만, 면역관문억제제는 면역관문을 방해만 하고 스스로 독성작용하지는 않습니다.

원래 T-세포가 암세포를 만나면 공격하던 정상적인 면역작용을 활성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오심, 구토 등 다른 항암제의 부작용들은 생기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면역관문을 차단하기 때문에 면역이 과 활성화되어서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간이나 폐, 신장 같은 중요한 장기에서 면역관문이 억제되면 염증 반응이 계속 일어나서 아주 드물게 치명적인 부작용이 생기기도 합니다.

부작용은 아주 적다고 하더라도 어떤 경우에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가 좋을지 판단하는 기준이 아직 불확실합니다. 물론 PD-1이나 PD-L1 등 면역관문 단백질이 얼마나 존재하는가를 진단해서 면역관문억제제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존재량에 꼭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적용 기준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많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암칼럼더보기
No comments
Write CommentLIST
WRITE COMMENT

위로이동